Monday, October 28, 2019

Hallelujah by Leonard Cohen

할렐루야는 캐나다출신 가수 레너드 코헨이 1984년 작곡한 곡이라고 한다. 당시에는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하고 나중에 제프 버클리라는 가수가 리메이크한 후에 크게 히트를 치게되었는데 2001년 슈렉에 수록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내가 이 곡을 처음 들은것은 1996년 여름이었다. 남편이 미국에 단기교육으로 가게되었을때 따라갔는데 교육을 받으면서도 출장및 학회등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업무는 해야했다. 당시 학회를 연 장소는 플로리다의 힐튼빌리지였는데 워낙 비싼 곳이라 머물지는 못했고 저녁초대만 받아 참석을 할수 있었다. 미국의 학회는 한국과 달리 학회 참석자가 동반자를 데리고 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족들을 많이 데리고 오기 때문에 주최측에서는 학회일정외에 동반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놓거나 학회기간 중 한번은 참석자 및 가족을 동반한 저녁만찬을 한다. 내가 참석을 한 것은 호텔에서 주최한 저녁만찬이었다. 참석을 하긴 했으나 아는 사람도 없고 사교성도 없어 나혼자 주변에서 서성거리기만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잊을수 없었던 것은 호텔의 규모와 분위기였다. 플로리다 남부해안에 말 그대로 빌리지를 만들듯이 호텔과 리조트를 구성해 놓았는데 아마도 요즘 말하는 프라이빗 풀빌라 개념이 아닐 듯 싶었다. 그 넓은 곳에 조용하면서도 아늑하게 비치앞에 마련해 놓은 장소는 해가 질때의 아련한 분위기와 굉장히 어울린다는 생각을 했다.

그 많은 사람들이 모였는데도 불구하고 복잡하고 분주하다는 느낌이 전혀 없이 여유있는 남국의 정서를 즐길수 있다는 것에 놀랐다. 동시에 왜 동남아의 그 많은 아름다운 해변에 미국인들은 없고 유럽인들만 있을까 하는 평소의 궁금증이 풀렸다. 미국안에서 동남아를 느낄수 있는 곳이 있는데 굳이 장시간 비행기를 타고 갈 필요가 없는 것이었다. 한편으로는 부럽고 한편으로는 영국에서 온 청교도에게 터전을 빼앗긴 인디언들이 생각이 나면서 기분이 묘했다. 이 때 나온 음악이 바로 이 할렐루야였다. 처음 들은 것이기에 제목도 몰랐고 누가 불렀는지도 모르지만 음률만은 당시 내가 느꼈던 복잡한 기분과 묘하게 어우러져서 내 머리속에 깊히 새겨지게 되었다. 단지 가사에 할렐루야가 들어가니 종교음악인가 하고 생각했을 뿐이다. 

이후 슈렉에서 두번째로 듣게 되었을때는 이런 기분은 들지 않았다. 그리고 나중에야 이 곡이 많은 가수들에 의해 편곡되어지고 다양한 버전이 있으며 심지어 크리스마스에 캐롤처럼 불리기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도 이 곡을 들을때면 언제나 처음 들었던 곳의 해변과 노을과 거기서 느꼈던 조용하면서 적적하고 바깥세상과 완벽하게 차단이 되면서 여유가 있지만 웬지 슬픈 느낌이 들었던 그 기분이 생각이 난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Bach 무반주첼로조곡 by Pablo Casals

첼로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아니 좋아하지 않더라도 익숙한 곡이라면 누구나 바흐의 무반주첼로조곡 1악장을 꼽을 것이다. 이 작품은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다가 우연히 스페인의 한 고서점에서 한 소년에 의해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 소년이 바로 파블로 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