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November 20, 2019

Bach 무반주첼로조곡 by Pablo Casals

첼로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아니 좋아하지 않더라도 익숙한 곡이라면 누구나 바흐의 무반주첼로조곡 1악장을 꼽을 것이다.
이 작품은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다가 우연히 스페인의 한 고서점에서 한 소년에 의해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 소년이 바로 파블로 카잘스이고 작품에 매료된 이 소년은 연구와 연습을 거쳐 최초로 이 작품 전곡을 연주한 사람이 되었다고 한다. 무척 재미있는 에피소드다. 전곡을 연주하는 것이 뭐 그리 대단할까 하는 생각이 들수도 있지만 작품의 길이와 연주 기교에 더해져 첼로 하나로 반주 없이 끝까지 연주를 한다는 건 정말 대단한 일이다.

내가 카잘스의 바흐를 들은 것은 정확한 시기는 생각이 나지 않지만 대학교 입학했을 무렵이었다고 기억한다. 한 살많은 외사촌 오빠 방에서 우연하게 카잘스의 CD를 봤는데 특이하게도 두개의 CD 케이스가 연결된 것이다. 그러니까 그많큼 곡이 많거나 길다는 뜻인데 수록된 건 단지 "6 Suites" 뿐이었다. 아무 생각 없이 CD를 들었는데 첼로에 무지한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첼로 특유의 낮은 울림이 있는 소리와 리듬이 뇌리에 박혔다. 당시만 해도 클래식이라면 관현악단의 연주나 피아노 독주가 유행이던 때라 그다지 현악기 연주를 듣지 못했던 때라 더 인상이 깊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면서 역시 예술가는 음악을 들어도 일반인과는 다르구나 하는 생각도 했었다. 사촌오빠는 미술을 전공했기 때문이다. 오빠랑 얘기하다가 음악얘기가 나오면서 첼로 연주에 대한 감상을 말했더니 갑자기 그 곡이 좋으면 가져도 좋다고 하는 것이 아닌가. 그냥 한 얘기에 이렇게 호응을 해주면서 주다니 좀 미안하기도 하고 뜬금없기도 하고 그래도 그 곡이 맘에 들었으니 거부는 안하고 냉큼 받아왔다. 그 이후 CD는 아직도 내가 가지고 있다. 지금은 CD도 안들으니 이사할때마다 조금씩 모아놓았던 CD를 정리를 하는 와중에도 끈질기게 살아남아 거의 30년을 넘게 CD 박스안에 모셔져 있다. 요즘처럼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곡을 들을수 있는 환경에서는 CD플레이어가 없으면 들을수도 없는, 어떻게 보면 불필요한 물건임에도 불구하고, 하루에 한번씩 들을정도로 빠진 곡도 아닌데 왜 이 곡만은 늘 버릴수가 없었는지 나조차도 설명이 안된다.

평론가의 설명이나 클래식음악에 대한 지식이 없이 그저 이 곡을 들으면 첼로의 약간 무겁고 낮은 소리에서 조용하고 편안하고 안정감이 들으면서도 때때로 경쾌한 느낌이 든다. 이것은 전적으로 내 개인적인 감상일뿐이다. 그래서 나한테는 혼자 있을때, 무언가를 깊이 생각하고 고민해야 할때 가장 많이 듣는 곡이다. 이 곡으로 인해 첼로까지 좋아하게 되면서 기회가 되면 직접 첼로를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까지 하게 되었다. 당시 한국에서는 안타깝게도 첼로를 가르치는 곳도 전공자를 제외하고는 취미로 하려는 사람도 거의 없었고 그러니 악기를 구하는 것도 어려운, 무엇보다도 돈이 많이 드는 것이 문제였다.

미국에 와서 아이들 덕분에 첼로를 옆에 두고 잘하지는 않지만 아이가 연주하니 첼로를 자주 들을수 있어서 기뻤다. 큰 아이 역시 내가 첼로를 좋아하고 그 중에 바흐의 첼로조곡을 가장 좋아한다는 걸 알고 있어서 다른 건 연습을 안하면서도 1악장은 열심히 연습을 한다.나름 엄마를 생각해서 하는 것 같아 기특하다. 매끄러운 연주는 아니지만 연주로만 듣던 그 어려운 곡을 아이가 라이브로 한다는 것도 큰 기쁨이다.
큰 아이가 군대를 가면서 가지고 가지 못한 첼로를 내가 보관하면서 오랫동안 꿈으로만 생각한 첼로레슨을 받기 시작했다. 물론 그것도 한국에 와야 하는 관계로 몇 달 하지 못했으니 시도를 했다는데에만 의의를 두기로 했다. 한국으로 올때 운반비가 비싸서 첼로를 가지고 오지 않기로 한 결정을 지금은 가장 후회한다. 누가 연주를 하던 가지고 오면 언젠가는 다시 한번 첼로연주에 도전할수 있었을텐데 하는 안타까움이다. 그 안타까움은 카잘스의 연주를 듣는 것으로 달랠수 밖에 없다.






Monday, November 11, 2019

오늘 같은 밤이면 by 박정운

이제 3년만 있으면 결혼 30주년이 된다. 평소에는 아무런 느낌이 없는데 이렇게 굳이 연도를 생각하면 내가 정말 한 남자랑 이렇게 오래 살았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나도 이렇게 많이 늙었구나 하는 아쉬움이 든다. 사실 결혼 30주년 40주년을 맞이한 부부를 보면 나이가 6,70대인 어르신들인데 내 자신을 거기에 대입하려니 괜히 거부하고 싶어지는게 여자의 본성일까. 그래서 시조카의 아이들이 나를 할머니라고 말하는 걸 들을때마다 과잉반응을 한다. 남이 나이드는 건 순리라고 생각하면서 내가 나이먹는건 이렇게 온 몸을 다해서 거부를 하고 있는게 그 자체로 나이를 실감한다는 반증일 것이다.

내가 결혼하던 당시에는 제주도가 가장 이상적인 신혼여행지였는데 점점 해외로 눈을 돌리는 시기라 동남아나 괌, 사이판, 거기에 돈 많은 집안들의 경우에는 하와이나 유럽까지 가는 커플들도 있었다. 나 역사 당시 항공사에 근무한 배경으로 하와이를 가고 싶었지만 뼛속까지 가부장적인 생각을 가진 공무원이셨던 아버지의 반대로 괌으로 가기로 결정을 했다. 그나마 항공사직원찬스를 사용해서 아주 싼 가격으로 비지니스를 예약할수 있었다. 도착지에서도 신혼여행이라고 둘만을 위한 가이드를 고용했다. 이 가이드가 생각보다 젊은 사람인데다가 한국가요를 좋아하는지 자동차만 타면 한국노래를 틀어대는데 당시에는 한류도 없었고 인터넷이 발달되지도 않았으니 한국노래도 약간 시간차가 생겨서 약간 유행이 지난 노래를 들었던 것 같다. 왜냐하면 신혼여행중에 주구창창 들었던 노래가 바로 이 "오늘 같은 밤이면"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어릴때부터 팝송에 관심이 많았던지라 영어공부를 위해서도 팝송을 듣고 다녔기 때문에 한국가요는 상대적으로 많이 듣지 않았다. 그래서 박정운이란 가수도 몰랐고 그가 부른 이 노래는 나중에 찾아보니 1991년에 발표가 됬다고 하는데 자세히 알지도 못했다. 그러던 것이 타국으로 간 신혼여행지에서 타의에 의해 이 노래만 거의 일주일을 듣다보니 중독이 된 듯하다. 가사도 신혼여행에 맞는 것 같고 발라드라 신혼 분위기에 어울리고 목소리도 내가 좋아하는 타입이라 여행 내내 입에 달고 다니게 되었다. 그리고 한국에 돌아와 사진정리를 하다 보니 방문한 장소나 찍은 사진을 보면 이 노래가 먼저 생각이 나게 되고 그 이후부터 이 노래를 듣게 되면 자연스럽게 신혼여행을 갔던 괌이 생각나게 되었다.

신혼여행을 간지 27년이 흘렀는데 그 이후로 많은 곳을 돌아다니면서 정말 멋있는 곳이 많다는 것을 깨달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못가본 곳이 많이 있기 때문에 다시 괌을 방문할 계획은 아직 없다. 단지 괌은 일생에 한번뿐인 신혼여행지였기에 의미가 있었던 것이지 콩깍지가 벗겨진 지금은 아마도 그 때 느낀 기분이나 감정을 가질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 노래는 들을때마다 신혼여행이 생각날 것이다.


Tuesday, November 5, 2019

Happy together (me and my cello), Beethoven's 5 secrets by Piano Guys

해피투게더는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로 유명한 곡이다. 특히 장국영과 양조위가 출연한 영화의 주제곡으로 사용된 이후에는 더욱 많이 알려진 듯 한데 이 곡이 1967년에 처음 발표된 곡이라는 사실은 나도 최근에야 알았다. 50년도 전에 만들어진 곡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위화감이 없이 현재에도 인기가 많은 곡이라니 이 곡이야말로 명곡이라고 할수 있지 않을까. 원래도 이 곡을 좋아했는데 피아노가이즈의 뮤비를 보면서 색다르게 느꼈다. 큰 아이는 첼로를 하는데 어느날 재미있다며 "나와 첼로"라는 제목의 뮤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뮤비는 별다른 것 없이 해피투게더의 첼로연주인데 내용은 첼로를 마치 연인처럼 의인화해서 모든 일상을 첼로와 공유하는 것이었다. 첼로를 옆자리에 두고 영화를 본다거나 첼로와 같이 농구를 하거나 놀이공원에 가서 회전목마를 같이 타거나 하는 것들이었다. 

그냥 재미있다 하는 생각이 들면서 저렇게 비싼 악기를 저렇게 다루다니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당시 내 편협한 생각으로는 첼로는 워낙 크고 비싼 악기라서 또한 소리도 바이올린만큼 다양한 소리를 낼수 없다고 생각해서 그저 클래식한 음악에만 어울릴것이라고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첼로특유의 저음이면서도 울리는 소리를 좋아해서 어릴때부터 첼로를 배우고 싶었지만 한국에서는 전공으로 생각하지 않는 이상 첼로를 가르치는 곳도 거의 없었고 악기 역시 고가라 일반 수준의 가정에서는 생각도 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런 고정관념을 가졌을 것이다. 내 바람을 아이가 이루어주었으면 하는 욕심에 큰 아이에게 첼로를 시켰고 처음엔 싫어했던 아이는 나중에 스스로 약간의 연습도 하면서 나름 즐기는 것을 보고 뿌듯했다. 그러면서 첼로도 충분히 메인악기로서 모든 장르의 곡을 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굳이 무겁고 분위기 있는 클래식뿐 아니라 경쾌한 팝송에도 어울린다는 것을 알았다. 피아노가이즈의 해피투게더 뮤비는 첼로에 대한 내 고정관념을 깨고 더욱 더 첼로를 사랑하는 계기가 되었다. 

피아노가이즈를 좋아하게 된 다른 계기가 그들의 또다른 뮤비였는데 이건 상당히 특이하다. 베토벤의 운명교향곡과 바하의 무반주첼로조곡, 또 한 곡은 제목을 모르는 팝송인데 상당히 귀에 익은 곡으로 이 세곡을 적절하게 믹스해서 연주한 뮤비다. 서로 다른 세 곡이 이렇게 적절하고 조화롭게 어울릴수 있다는 것에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더구나 세 곡 모두 내가 좋아하는 곡들이라서 더욱 놀라웠다. 물론 한곡 한곡을 완벽하게 듣는 것도 즐거운 일이지만 이런 재미있는 시도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의 범위를 뛰어넘었다는 것에 더 큰 의의를 두고 싶다. 결국 유튜브에서 피아노가이즈의 뮤비를 모두 찾아보았다. 예상대로 재미있는 것이 무척 많고 다양한 곡을 새로운 해석으로 들을수 있어서 좋았다. 

미국에서는 특이한 악기를 접하는 것이 쉽다. 피아노나 바이올린은 물론이고 첼로 콘트라베이스, 드럼 같은 크기가 큰 악기나 플륫 오보에등 가격이 비싼 악기들도 쉽게 배울수 있다. 배우기 위해서 굳이 처음부터 비싼 악기를 구입할 필요도 없다. 악기상에 가면 렌탈을 어느 악기라도 렌탈을 할수 있고 레슨도 받을 수 있다. 렌탈비도 그다지 비싸지 않아 첼로 같은 경우는 한달에 30달러면 웬만한 수준으로 빌릴수 있다. 렌탈기간동안 AS도 무상으로 가능하고 장기간 임대하고 나면 그 악기를 구입할수도 있다. 악보등도 다양한 악기에 맞게 편곡도 잘 되어 있고 그룹으로 연주할수 있는 시스템도 만들어져 있어 흥미가 있는 사람은 남녀노소 누구나 배울수 있다. 연습한 시간이 짧아 실력이 없어도 이런 저런 발표회를 할 기회를 많이 주기때문에 잘해야 사람들 앞에 설수 있다는 긴장감이 없이 그야말로 즐기면서 배울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Saturday, November 2, 2019

We are young by Fun

그룹 Fun은 아마도 한국에 많이 알려지지 않은 듯하다. 한국에 있는동안 이들의 인기곡을 그다지 들어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실 나 자신도 아주 많이 좋아하는 그룹은 아니라서 사실 그룹이었는지도 모르긴 했었다. 가수보다 노래에 더 이끌렸기 때문이다.

이 곡을 처음 들은건 아이들 오케스트라 여행에 참가한 학부모가 여행중 찍어서 올린 사진과 영상을 편집해서 CD로 만들어서 학부모 전체에 돌렸을 때이다. 편집을 하면서 배경음악으로 이 곡을 넣었는데 다른 가사는 귀에 들어오지 않았는데 유독 후렴구인 we are young so let's set the world on fire we can burn brighter than the sun 부분이 마음에 와 닿았다. 아마도 젊기 때문에 아무생각없이 무모하게 앞으로 나갈수 있다고 말하는 것처럼 들렸는데 그것이 아이들이 여행지에서 보인 그 나이의 아이들이 가지는 자유로움, 즐거움, 장난, 연습, 음악 등이 같이 어울렸기 때문인 것 같다. 영상속의 아이들은 거리낌없이 자신들의 감정을 표현하고 친구들과 어울리고 새로운 문화를 즐기고 자신들의 공연에 진지하게 임하고 열심히 연습하면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직접 보지 않아도 아이들이 얼마나 행복해하고 있는지를 느낄수 있었고 그 나이대에 누릴수 있는 젊음을 마음껏 발산하는 것을 보면서 부럽기까지 했다. 내가 그 나이때는 주변환경에 치여서 아무것도 못했는데 이 나이에는 이렇게 재미있게 살수도 있구나 하는 부러움이었다. 어리기 때문에 용감하고 무모한 아이들과 이 곡의 후렴이 묘하게 맞아떨어져서 아직도 내 마음에 남아있다. 이 곡을 들을때마다 여행지에서의 아이들이 생각이 난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이 곡은 내가 생각한 것처럼 거창한 것이 아니라 그저 파티에서 술 마시고 취한 다음날 자신의 경험을 쓴 것이라고 하니 좀 허무하기도 했다.

오케스트라 여행은 큰 아이가 고등학교 4학년 작은아이가 2학년일때 이루어졌다. 아이들이 다닌 고등학교는 평범한 공립고등학교인데 흔히 말하는 서버번지역, 즉 도심에서 떨어진 작은 마을에 있었는데 주민들이 대부분 백인중상층으로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면서 생각이 진보적이고 교육열이 높은 마을이다. 미국도 학교별 지역별로 교육차가 심해서 도심에 있는 학교들은 사정이 열악한 경우가 많은 반면 이렇게 도심에서 약간 떨어진 곳은 상대적으로 안정된 학교들이 많다. 내가 살던 곳의 학교는 특히 오케스트라가 유명해서 그저 학교오케스트라인데도 실력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어 이 학교 학생들이 매년 열리는 음악대회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 아마도 그렇기 때문에 오케스트라담당교사가 이런 기획을 했을 것이다. 봄방학을 포함해서 약 2주간 단원인 학생 약 80명과 보호자 30명정도로 구성되어 이태리 로마와 플로렌스의 교회에서 공연을 하는 대규모 투어콘서트(?)였던 것이다. 사전에 현지와 어떤 연관이 있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다만 오케스트라 담당교사가 상당히 열성적이어서 아주 다양하고 훌륭한 기획을 해서 늘 감탄을 했었다. 고등학생들을 데리고 유럽으로 공연여행을 기획하는 교사도 대단하고 그것을 허락한 학교도 대단하고 뒤에서 서포트한 학부모들도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다. 1인당 약 3000달러가 드는 비싼 여행이라 우리 집처럼 풍족하지 않은 가족에게는 사실 버거운 여행이었다. 이 부분을 학교에서는 1년전부터 꾸준히 펀드활동을 해서 충당했다. 아이들이 주말에 세차를 하는 등 자체적으로 돈을 모으는 것이었다. 또한 여유가 있는 가족들에게서 기부금을 받기도 했다. 이렇게 오랜 준비끝에 여행을 가서 늘 익숙한 관객앞에서가 아니라 말도 안통하는 전혀 낯선 관객들 앞에서 연주를 해야하니 아이들도 긴장을 하고 더 연습에 열중을 했을 것이다. 그리고 공연이 끝나면 그만큼 성취감 또한 늘었을 것이고 이것이 음악에 대한 관심과 취미를 지속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을 것이다.

학교 오케스트라 공연은 학기중에 한번 학기말에 한번 정기적으로 공연을 하고 가끔씩 챔버오케스트라가 크리스마스나 시(市)차원에서 행사를 할때 공연을 하기도 한다. 연습은 일반적으로 방과후에 한시간반 정도이다. 개인적으로는 개인교습을 받거나 청소년시립교향악단이나 시에서 운영하는 음악원의 단원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 곳은 어떤 취미 활동을 하든 그 문턱이 높지 않은 것 같다. 악기를 배우고 싶으면 악기상에 가서 비교적 싼값에 악기를 빌릴수 있다. 렌탈한 기간이 길어지면 그 악기를 소유할수 있다. 혼자서 연습을 하기도 하지만 잘하든 못하든 처음부터 모두 모여 음악을 맞춰보면서 연습을 한다. 이것이 가장 큰 차이점인 것 같다. 청소년시립교향악단이나 시 음악원 같은 경우에는 오디션을 보기도 하지만 경쟁률이 치열하지는 않다. 미국 공립학교는 공부를 시키는 것에는 실패를 한 것 같지만 방과후 활동은 성공적으로 시키는 것 같다.





Bach 무반주첼로조곡 by Pablo Casals

첼로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아니 좋아하지 않더라도 익숙한 곡이라면 누구나 바흐의 무반주첼로조곡 1악장을 꼽을 것이다. 이 작품은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다가 우연히 스페인의 한 고서점에서 한 소년에 의해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 소년이 바로 파블로 카...